한국과 일본이 오는 16일 서울에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제7차 국장급 협의를 개최한다.
한국 측에서는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이, 일본 측에서는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대표로 나선다.
지난해 4월 이후 총 6차례 국장급 협의가 열린 바 있으나 별다른 진전은 없었다. 한국 측은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피해자와 국민 눈높이에 맞는 조치'를 촉구하고 있으나, 일본 측은 '법적으로 이미 해결된 문제'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지난달 25일 <YTN>과의 대담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지난 2012년 일본 측이 제시한 이른바 '사사에(佐佐江)안'에 대해 "개인 자격으로 제시한 안"이라면서도 "그런 안이 한번 왔었기 때문에 그런 것도 염두에 두면서 보다 현 시대에 맞는 것을 한번 타결해 보자는 이야기"라고 여지를 남긴 바 있다.
'사사에 안'은 사사에 겐이치로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2012년 3월 방한 당시 일본군'위안부' 문제 타결을 위해 내놓은 방안으로,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일본 총리의 '도의적 책임' 인정 서한 △주한일본대사의 피해자 대면 사과 △ 인도적 조치를 위한 자금 지원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광길 기자
gklee68@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