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개성공단에 남겨진 완제품과 원부자재의 반출을 위한 구체적인 협의 일정까지 제시했다는 내용이 담긴 팩스를 18일 일부 입주업체들에 보내왔다.
북한 중앙특구개발총국(특구총국)은 지난 15일 “관계자들의 출입과 입주기업가들의 방문 및 물자반출을 허용해줄 의사를 표명하면서 그와 관련한 날자까지 제시해주었다”고 폭로하고 같은 내용을 16일 입주업체들에 팩스로 알린 바 있다.
그러나 통일부 김형석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을 통해 “원부자재 및 완제품 반출을 위한 방북과 관련하여 우리측과 협의할 용의가 있다고 한 것은 사실”이라고 시인하면서도 “북한이 어제 주장한 것과 같이 그 문제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날짜를 제시한 바는 전혀 없었다”고 반박한 바 있다.
특구총국은 두 번째 팩스에서 지난 3일 개성공단 체류 인원이 마지막으로 철수할 당시 북한이 제품과 원부자재를 반출하기 위한 문제를 협의해볼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고 “이를 위해 5월 6일까지 구체적인 협의 및 출입계획을 제출하라는 안까지 제시했다”고 폭로했다.
따라서 특구총국이 두 번째 팩스를 보내온 것은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의 "구체적인 날짜를 제시한 바는 전혀 없었다"는 반박을 재반박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18일 설명자료를 발표, “북한이 주장한 5월 6일까지 구체적인 협의 및 출입계획을 제출하라고 했다는 것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다시 한번 부인했다.
통일부는 “북한에 의해 차단된 서해군사채널과 판문점채널을 통해 어떠한 계획도 통보할 수 없는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북한이 날짜를 제시하면서 통보하라고 했다는 주장은 이치에도 맞지 않다”며 “북한이 우리 기업들의 어려운 사정을 이용하여 팩스를 통해 우리 정부와 기업들과의 갈등을 유발시키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면 이는 결코 성공할 수도 없고, 매우 온당치 못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또한 “북한이 진정으로 원부자재 및 완제품반출 허용의사가 있다면 지금이라도 당국간 협의에 임해야 할 것”이라며 “북한측의 성의있는 호응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남북 당국간 진실공방이 벌어지면서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실질적 대화와 조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결국 입주기업들의 피해만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