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을 통해 북측의 개성공단 실무회담 거부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밝혔다. [사진 - 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정부의 남북 당국간 개성공단 실무회담 제의를 하루만에 북측이 거부한데 대해 통일부는 유감을 표시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16일 오전 브리핑에서 "정부의 진정성있는 제안에 대해 북한이 어제(15일) 일방적 주장으로 이를 폄훼한 것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다"고 정부 입장을 밝혔다.

김 대변인은 "개성공단이 잠정중단된 지 40여일이 지났다. 기업들이 처한 절박한 상황을 조금이라도 완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원부자재.완제품 반출이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라며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막대한 피해와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은 북한의 부당한 통행제한 조치와 근로자 철수 때문"이라고 북측의 주장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근본문제 해결 주장 등 개성공단과 무관한 주장을 반복하기 보다는 기업의 투자와 자산을 보장하기 위한 약속부터 지켜야 한다"며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북한은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북한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대변인의 조선중앙통신사 기자 질문대답 내용에 대해 김 대변인은 "폄훼"라며 거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대변인은 "폄훼이다. 명시적으로 국어 문법에 따라서 이해를 하면 된다"고 말했다.

"총국 주장 사실이나 구체적 날짜 제시하지 않았다"

이번 우리측 실무회담 제의를 두고 북측은 지난 3일 남북간 개성공단 실무협의에 대한 일부 내용을 공개, 논란이 일고 있다.

북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대변인은 "지난 5월 3일 남측 잔류인원들이 개성공업지구에서 전부 철수할 때에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남측관계자들에게 공업지구하부구조대상들의 정상유지관리를 위한 관계자들의 출입과 입주기업가들의 방문 및 물자반출을 허용해줄 의사를 표명하면서 그와 관련한 날자까지 제시해주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형석 대변인은 "미수금 정산을 위한 입주기업들의 방북 그리고 전력과 용수 등 시설관리를 위한 인원의 방북은 허용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원부자재 및 완제품 반출을 위한 방북과 관련하여 우리측과 협의할 용의가 있다고 한 것은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하지만 "북한이 어제 주장한 것과 같이 그 문제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날짜를 제시한 바는 전혀 없었다"고 반박했다.

통일부와 특구총국의 주장을 종합하면, 정부의 개성공단 전원철수 조치 이후, 미수금 지급과 원부자재.완제품 반출을 위한 남북간 실무협의가 부분타결되던 3일, 김호년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부위원장이 미수금 지급을 위해 개성공단에 들어갔을 때 북측이 제안한 것이다.

총국 관계자는 김호년 부위원장에게 "시설관리 인원 방북을 허용하고, 원부자재 및 완제품 반출을 위한 방북에 대해 협의할 수있다"고 말했다.

이에 김호년 부위원장은 "그 문제를 협의하는 것은 본인의 권한 밖의 일이고, 북한 측이 통신을 단절시킨 만큼 남북간 채널을 통해 북한 측이 언급한 협의문제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전달해 오면 이를 검토하여 우리 측의 입장을 전달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북측이 날짜를 제시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우리 정부는 "전혀 없었다"고 상반된 주장을 내놓았다.

앞서 홍양호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위원장과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 간 실무협의에서는 원부자재 및 완제품 반출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김형석 대변인은 "북한이 주장하는 금액을 우리가 일단 주고 나중에 사후정산하자, 이런 식으로 우리가 합의를 해준 것"이라며 "원부자재.완제품 반출문제는 가타부타 얘기를 안해서 그러면 이것은 우리가 제기하는 문제다, 이 부분에 대해서 북한이 보장하라고 했었다"고 밝혔다.

그리고 "(홍양호 위원장이) 내려오셨고 그 합의에 따라서 미수금 전달을 위해서 올라갔던 개성공단관리위원회 부위원장 편에 (북측이) 불쑥 입장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북측의 협의 내용 일부 공개와 관련, 우리 정부가 그 동안 숨기기에 급급했다는 비판에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김형석 대변인은 "북한과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이 부분에 대해서 계속 진행되는 상황을 다 공개하기는 어렵다"며 "우리 정부가 그것을 숨기는 것이 아니고 북한이 불쑥 마지막 통신도 안되는 상황에서 그리고 권한 밖의 인사에게 이런 이야기를 해서 우리가 실무적인 협의를 하자고 했던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측의 대답을) 기다렸는데도 안 와서 우리가 회담제의까지 했던 것이다.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서 마치 정부가 중요한 사항을 숨기거나 은폐했다는 것에 대해서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