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가 200회에 걸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4년의 기간 동안 한 차례의 빠짐없이 정력적이고 성실하게 연재를 해 주신 정관호 선생님께 통일뉴스는 독자 여러분과 함께 존경과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선생님의 건강과 함께 건필을 기원드립니다. / 편집자 주

정관호 인사말 - 연재를 마치며

본고로써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를 쉽니다. 그 동안 격려와 분에 넘치는 댓글을 주신 분들에게 감사합니다. 이에 졸시로써 작별 인사를 대신하겠습니다. 

                                                     쑥과 마늘의 유훈

곰은 쑥과 마늘을 먹고 조신한 뒤에 웅녀가 되었다. 쑥과 마늘에 적응치 못했던 호랑이는 사람이 되지 못했다.

웅녀는 신단수 아래 엎드려 아이를 낳게 해 달라고 빌었다. 드디어 환웅과 얼러서 단군을 낳았고, 그로써 산천이 열렸다.

산천이란 산과 내와 나무와 풀을 뜻하는 것인즉, 우리 강토의 생김생김과 거기서 자라는 초목이 우리 뼈대를 무었고 살과 피를 만들었다.

이 땅을 덮고 있는 초목들은 우리보다 먼저 자리잡고 있었고, 우리 조상들이 정착해서 살게 되면서 그것들을 옮겨다 먹을거리로 만들었다.

오랜 경작에서 얻어진 벼·조·보리·콩·기장 등은 본디 들풀이었고, 그 원종은 지금도 우리 주변에 야생으로 남아 있다.

우리가 아차 실수로, 아니면 짐짓 고의로 산천에서 자라고 있는 초목들을 없앤다면, 그날이 우리 겨레의 마지막 날이 될 것이다.

그렇게까지는 아니한다 하더라도, 그것들을 업신여기고 못살게 굴어 쇠퇴케 만든다면, 그로 말미암아 큰 재앙이 닥칠 것이다.

산림을 잘 가꾸고, 들풀을 제 자리에서 잘 자라도록 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잘 살 수 있는 길잡이요, 뿌리 깊은 인간으로서 살아가는 길이다.

쑥과 마늘의 신화는 우리에게 그렇게 하라고 가르친다. 그래야 호랑이 신세가 되지 않고, 웅녀 후손답게 길이 살아남는다고 가르친다.


▲ 철쭉. [사진 - 정관호]

                                                     철 쭉

                                             철쭉이 피는 오월에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철쭉을 피우며 지우며
                                             추적이는 봄비

                                             그 바람에 실려오는 훈기
                                             그 비에 묻어나는 내음

                                             예사롭지 못해서
                                             공연히 머리를 쥐어뜯는 까닭
                                             아는가 모르는가

                                             해마다 그렇게
                                             철쭉 꽃철이 되면 그렇게
                                             버릇처럼 끓어오르는
                                             채 삭이지 못한 상념들

                                             되풀이하지 말아야지
                                             아주 영영 흘려버려야지
                                             하면서도 끝내 매듭지어지지 않는
                                             아스라한 것들

                                             바람이 되어 일렁이고
                                             비가 되어 적시는
                                             어쩌지 못할 참혹한 계절아!

▲ 철쭉, 꽃 생김새. [사진 - 정관호]

▲ 철쭉, 흰색. [사진 - 정관호]

▲ 철쭉, 중간색. [사진 - 정관호]

▲ 철쭉, 수입종. [사진 - 정관호]

▲ 철쭉, 수입종. [사진 - 정관호]

▲ 산철쭉.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철쭉은 산에서 자라는 꽃나무인데, 달걀 모양의 이파리가 4~5개 모여나는 게 진달래나 산철쭉과 우선 다르다 (그것들은 잎 끝이 뾰족하다). 고장에 따라 여러 딴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분홍꽃이 달리는 것이 원래 모양인데 흰 꽃을 다는 종(흰철쭉), 그 중간색 꽃을 피우는 것도 있다. 요즘 산철쭉을 개량한 원예종들이 공원이나 녹지에 많이 식재되고 있는데, 그것들을 그냥 ‘철쭉’이라고 부르면 틀리는 것이 된다. 이파리와 꽃이 동시에 피는 점도 진달래와는 다르다. 산 골짜기나 비탈에 무리지어 필 때는 아주 멋스럽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