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7)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피나물. [사진 - 정관호]
피나물
봄에 숲속에서 피는 양귀비꽃 그 학명 그대로 숲속에 넓게 깔려서 피는 이 꽃을 보는 기쁨은 크다
줄기를 자르면 불그레한 젖물이 나온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데
사촌 뻘이 되는 매미꽃 쪽이 더 피빛 나는 젖물을 토하니 그쪽을 ‘피나물’이라고 불러야 옳을 듯 꽃이 피는 기간도 더 길고
나무 그늘에서 주로 살지만 자라는 환경에 따라서는 더 선명한 노랑을 얻을 수도 있다고
나물이라고 부르는 마련으로는 섣불리 입에 넣지는 못하는 풀.
▲ 피나물, 잎과 꽃. [사진 - 정관호]
▲ 피나물, 붉은 유액. [사진 - 정관호]
▲ 매미꽃, 군락. [사진 - 정관호]
▲ 매미꽃, 잎과 꽃. [사진 - 정관호]
▲ 매미꽃, 붉은 유액. [사진 - 정관호]
도움말
피나물은 숲 그늘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데 무리를 지어 살기를 좋아한다. 줄기를 자르면 불그레한 젖물이 나오므로 이런 이름을 얻었다. 이파리는 다섯 장으로 된 깃골겹잎이고, 봄에 줄기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1~3개의 네 잎 노란 꽃이 핀다. 어린 순을 먹기는 하지만 독성이 있다. 뿌리를 말린 것을 하청화근(荷靑花根)이라 하여 약에 쓴다. 피나물과 아주 비슷한 것에 매미꽃이 있는데, 이것도 줄기를 자르면 붉은 유액이 나온다. 다만 꽃대가 뿌리에서 바로 솟고 이파리 끝 소엽이 더럭 큰 점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