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일에 북한이 지금 예고한 미사일의 궤도가 정상궤도를 벗어나서 우리 지상에 떨어질 경우를 대비해서 나름대로의 궤도 추적과 요격할 수 있는 그런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국방부 김민석 대변인은 26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은 인공위성 광명성3호 발사 계획에 대해 “로켓 발사는 핵무기 운반수단인 장거리 탄도미사일의 능력을 확충하고, 개발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에 장거리 미사일로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민석 대변인은 “추진체가 지상에 떨어질 경우에는 우리 국민의 안전, 그리고 시설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 궤도를 추적하고, 대비책을 강구해야 되는 것은 당연하다”며 “기본적으로는 1차 추진체가 떨어지는 지점, 그것이 예상궤도에서 벗어날 경우를 대비한다고 보면 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정상 궤도를 벗어나서 만일에 미사일 추진체가 우리 영토 지상에 떨어질 경우를 대비해서 대응책을 강구 중에 있다’, 그런 원론적인 부분”이라며 “현재로서는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는 것을 양해해달라”고 말했다.

북한의 인공위성이 백령도 상공을 지날 것이라는 <동아일보> 보도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지금 내가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서 “영공에 대한 객관적인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영공은 고도 100㎞ 정도를 영공으로 보고 있다”고만 답했다.

김민석 대변인은 “이번 장거리 미사일 개발과 발사에 드는 천문학적인 비용은 기아와 굶주림에 허덕이고 있는 북한 주민들의 식량난을 해결할 수 있는 비용”이라며 “개략적으로 그 비용은 8억 달러 이상 드는 것으로 우리들이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