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7)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천궁. [사진 - 정관호]

                                                       천 궁

                                          풀이라고 하기에는 대궁이 높고
                                          나무라고 보기에는 아직 잔망해
                                          그래도 늘 쳐다보게 되는 자람새 

                                          다가가면 그윽히 맡이는 향기
                                          푸짐하게 뻗은 줄기와 이파리
                                          젖혀진 우산살 모양의 하얀 꽃차례

                                          약장 서랍에 씌어진 川芎 두 글자
                                          당귀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약재건만
                                          생으로 바라보는 그 줄기 사랑스러워 

                                          한약 한 사발이라도 마셔본 이는
                                          그 쓰면서도 알싸한 맛을 아느니
                                          그게 반은 이 풀 뿌리에서 난다

                                          꽃떨기에 찾아드는 벌나비를 보며
                                          이 약초의 변용(變容)에 놀랄 뿐
                                          늘 우리 곁에서 자라 있기를 바란다.

▲ 천궁, 어린잎. [사진 - 정관호]

▲ 천궁, 꽃 생김새. [사진 - 정관호]

▲ 천궁, 씨.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천궁은 중국 원산의 여러해살이풀인데, 지금은 약초로 널리 식재하고 있다. 줄기는 60센티 정도까지 자라며 이파리는 깃골겹잎이다. 8월 경에 겹우산 모양의 흰 꽃을 피우는데 향이 아주 짙다. 그 뿌리가 본초명으로 천궁(川芎)인데 사물탕(四物湯)에 들어가며, 피를 맑게 하고 기(氣)를 돋우는 작용이 있으므로 당귀와 더불어 널리 쓰이는 약재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