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7)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박새. [사진 - 정관호]

                                                      박 새

                                          전라남도 백운산에서 처음
                                          그 자생군락을 만났을 때는
                                          적이 반갑고 놀라웠구나

                                          깊은 산중에서 잘 자라며 
                                          잎맥이 또렷한 큰 이파리
                                          키는 어른 가슴께에 닿고

                                          어린 순은 먹음직스러워
                                          산나물 캐는 눈에 잘 뜨여서
                                          자칫 다른 산채와 헛갈린다 

                                          커다란 꽃이삭은 살짝 연두색
                                          보송보송 잔털로 덮이고
                                          꽃이파리는 여섯 낱이다

                                          맹독을 지녔고, 그래서
                                          특히 뿌리는 쓰임새가 넓어
                                          귀중한 한약재가 된다 

                                          이파리 모양이 좀 가늘고
                                          검자주색 꽃을 피우는 
                                          여로는 아주 가까운 동기다.

▲ 박새, 어린잎. [사진 - 정관호]

▲ 박새, 꽃. [사진 - 정관호]

▲ 여로, 어린잎. [사진 - 정관호]

▲ 여로, 자주색 꽃을 피우는 종. [사진 - 정관호]

▲ 여로, 흰색 꽃을 피우는 종.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박새는 깊은 산 추진 데서 무리를 짓고 사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뿌리잎(根生葉)은 포개져서 줄기를 감싼다. 타원형 이파리는 잎맥이 뚜렷하고, 7~8월 경 줄기 끝에 원뿔 모양의 황록색 꽃을 피운다. 형제종인 여로는 박새보다 잎이 가늘고, 자주색 꽃이 피는 종과 흰색 꽃이 피는 종이 있다. 두 풀 다 뿌리를 약으로 쓰는데, 박새 뿌리의 본초명은 첨피여로(尖被藜蘆)인데 강심작용이 있고, 여로 뿌리의 본초명을 여로(藜蘆)인데 혈압을 내리는 작용이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