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7)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황기. [사진 - 정관호]
황 기
삼계탕에는 으레 들어가고 또 우리가 알게 모르게 노상 먹고 있는 약초 뿌리
쓰다가 조금 남은 것을 봉지에 넣어 잊고 있으면 어느새 잔나방들이 들끓는다
그게 그렇게 맛이 있나 봐 먹고서 죽지 않는다는 걸 진작에 알고 덤벼드나 봐
고장 이름을 얹은 종이 몇 낱 정선황기에 제주황기 들 태어나 자란 땅을 잊지 못하네
깃꼴 이파리로 뻗는 줄기 술 모양의 꽃에 씨 꼬투리 그렇게 자라며 뿌리를 가꾼다
그걸 사들고 가는 부인에게 이게 뭔지 아시냐고 물으면 그걸 여태 몰라요? 황기지라.
▲ 황기, 어린잎. [사진 - 정관호]
▲ 황기, 꽃. [사진 - 정관호]
▲ 황기, 열매. [사진 - 정관호]
▲ 정선황기. [사진 - 정관호]
▲ 제주황기. [사진 - 정관호]
도움말
황기는 산지 바위틈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데 흔히 약초로 기르기도 한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온 몸에 부드러운 잔털이 나 있다. 이파리는 깃골겹잎이고 8~9월에 나비 모양의 연노란색 꽃이 이삭으로 달린다. 열매는 꼬투리로 익고, 그 뿌리가 한방에서 이르는 황기(黃芪)다. 기를 보하고(補氣) 양기를 돋으며(昇陽) 땀을 멎게 하는(止汗) 등 효험이 알려져 있다. 정선황기ㆍ제주황기는 자매종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