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7)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삼지구엽초. [사진 - 정관호]
삼지구엽초
참으로 조화인저 이 풀의 생김새가 조화인저
가지 세 가닥 한 가지에 이파리 세 낱
더도 덜도 않게 긴 세월을 곧이곧대로 판에 찍듯이 되풀이되고
영검스러운 약효로 뭇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는 그 설화의 주인공
그런데 정작으로 그 묘하게 생긴 꽃에 대해서는 별로 찬사가 없어
다시 들여다보면 밑으로 향한 닻 모양의 꽃잎이 연노랑으로 신통하게 생겼다
꽃철이 짧고 씨받기가 어려운 데다가 함부로 캐는 바람에 지금은 귀한 풀이 되었다.
▲ 삼지구엽초, 꽃생김새. [사진 - 정관호]
▲ 삼지구엽초(중국산). [사진 - 정관호]
▲ 서양삼지구엽초.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삼지구엽초는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데, 가지가 셋으로 갈라지고 그 끝에 석 장의 잎이 달리므로 三枝九葉草라는 이름을 얻었고, 줄기를 말린 것을 본초명으로 음양곽(淫羊藿)이라 이른다. 보양(補陽)의 영약으로 알려져 함부로 채취하는 바람에 자생지를 찾기가 힘들어졌다. 봄에 가지 끝에 연노란색 꽃이 밑을 향해 피는데, 그 특이한 생김새가 눈길을 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