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7)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벽오동. [사진 - 정관호]

                                                   벽오동

                                         봉황새가 깃을 트는 나무
                                         사모의 정을 전하는 나무 
                                         초승달이 걸리는 나무
                                         빗소리를 듣는 나무

                                         그런저런 이야기와 얽히어서
                                         남정네 정서를 다듬어 온
                                         상서로운 나무로 구전되는 벽오동

                                         그러나 눈밭에 그루 높이 서서
                                         된바람을 이기고 견디는
                                         그 파란 줄기에 손을 얹으면
                                         전해오는 여인네 처절한 몸떨림 

                                         깊은 밤에 잠 못 이루고
                                         어둠 속 홀로 몸을 뒤척이며
                                         제 허벅지를 바늘로 찌른다는
                                         과부의 원망에 찬 한탄 

                                         다섯 폭 가리개에 둘러싸여 
                                         서글픈 소리로 나직이 신음하는 
                                         저 씨앗 부딪는 소리를 들어보라

                                         빈 들을 달리는 말발굽 소리
                                         하늘을 날아가는 휘파람 소리
                                         처마 끝을 흔드는 요령 소리

                                         이파리 한 닢 바람에 날려
                                         독수공방 어두운 문살에 스치면
                                         그것은 또 한서린 님의 숨기척

                                         사랑방 동쪽 담장께보다
                                         안방 뒤뜰 장독대 곁이 어울리는 
                                         여인의 나무 청상 같은 벽오동.

▲ 벽오동, 꽃차례. [사진 - 정관호]

▲ 벽오동, 수피. [사진 - 정관호]

▲ 벽오동, 열매.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벽오동은 중국 원산인 갈잎큰키나무(落葉喬木)인데 줄기 껍질이 푸른색(碧色)이어서 이런 이름으로 불리는데, 실지로 보면 녹색에 가깝다. 수피(樹皮)에는 세로무늬가 있고 이파리는 오동나무 잎 비슷하다. 가을에 열매가 꼬투리 모양으로 달리는데 익어서 갈라지는 속에 씨가 들어 있다. 바람이 불면 그것들이 달그락거리는 게 아주 특이한 느낌을 준다. 씨는 씹으면 아주 고소한 맛이 난다. 조경수로 널리 식재되고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