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7)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쑥, 어린잎. [사진 - 정관호]
쑥
쑥처럼 우리를 따뜻하게 해주는 풀 또 있을까
쑥처럼 그 쓰임이 두루 넓은 풀 또 있을까
쑥처럼 그 이름을 많이 나누어준 풀 또 있을까
태곳적부터 우리를 먹여살리고 낫궈준 풀 더없이 고마워라
그러고도 아직 감춘 것 다 모른다니 그 깊이가 한량없네
버려진 듯 있고 다소곳이 자라고 정갈하게 사는 풀
사람이 나이를 먹으며서 쑥 같이만 지낸다면 백 년을 수하리라
신령스런 풀 사랑스런 풀 이물없는 풀 쑥이여!
▲ 쑥, 가을. [사진 - 정관호]
▲ 참쑥, 어린잎. [사진 - 정관호]
▲ 개똥쑥, 어린잎. [사진 - 정관호]
▲ 넓은잎외잎쑥, 가을. [사진 - 정관호]
▲ 더위지기. [사진 - 정관호]
▲ 맑은대쑥, 꽃철. [사진 - 정관호]
▲ 뺑쑥, 가을. [사진 - 정관호]
▲ 사철쑥, 어린잎. [사진 - 정관호]
▲ 사철쑥, 가을.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단군 건국설화 이래 우리 삶에 넓고 깊게 뿌리내린 풀 쑥. 산과 들에, 일년 내내 해마다 그 자리에서 자라나는 여러해살이풀 쑥. 쑥이라는 종이 물론 있지만, 그 이름을 나누어 가진 이런저런 쑥풀들이 셀 수 없을 만큼 많다. 이른 봄 쑥국으로 사작해서 병을 다스리는 그 효용에 이르기까지 실로 쓰임이 넓은 먹을거리자 약풀이기도 하는 터. 조금만 더 눈을 넓히면 여러 ‘쑥’ 형제종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쑥과 빼어닮은 참쑥을 비롯하여 개똥쑥ㆍ넓은잎외잎쑥ㆍ더위지기(인진쑥)ㆍ맑은대쑥ㆍ뺑쑥ㆍ사철쑥 등은 서로 매우 가까운 일가붙이들이다. 그런데 더불어 불리기는 하지만 떡쑥ㆍ재쑥 등은 서로 촌수가 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