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7)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곰솔. [사진 - 정관호]

                                                       곰 솔 

                                          나무갓이 어두워서 검은솔
                                          바닷바람을 좋아해서 해송(海松)
                                          그것이 어울려 내려와서 곰솔

                                          거북등 철갑무늬의 줄기 껍질
                                          바늘처럼 따가운 이파리 서슬
                                          그들이 자란 내력을 말하는구나

                                          국토를 둘러 해안에서 자랐기에
                                          왜구의 노략질에 치를 떨었고
                                          일제 침탈에 눈을 부라렸던 세월

                                          제주 4.3항쟁의 번지는 불길에
                                          오래 자란 나이로도 어쩔 수 없어
                                          검게 그을리며 눈물흘렸으리라 

                                          천신(天神)이 타고 내린 사다리
                                          민의가 솟구쳐 하늘로 뻗은 키
                                          산천단* 곰솔들이 전하는 역사로세

                                          외경의 머리 숙는 노거수(老巨樹) 
                                          그 앞에서 잘랐노라 뻐기지는 못해
                                          이 겨레 길이 번영하라 빌 뿐이다.

                                        *제주시 아라동에 있는 곰솔군락지가
                                          산천단(山泉壇)이라는 샘 옆에 있음.

▲ 곰솔, 가지뻗음. [사진 - 정관호]

▲ 곰솔, 수간. [사진 - 정관호]

도움말

곰솔은 ‘검은솔(黑松)’에서 번진 이름이라는데, 여느 소나무 껍질은 붉은데 곰솔 껍질은 검다고 해서 붙여진 것 같다. 주로 바닷가에서 자라고 있어서 ‘해송(海松)’이라고도 한다. 잎 생김새는 소나무처럼 두 가닥인데 색깔이 더 짙고 뻣뻣해서 찔리면 아프다. 바닷바람에 강하므로 방조림(防潮林) 조성에 알맞다. 제주시 아라동의 곰솔들은 수령이 많고 산신제를 지내온 역사도 있어서 천연기념물 제160호로 지정되어 기림을 받고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