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모과나무. [사진 - 정관호]

                                          모과나무

                                         얼굴이 모과처럼 생겼다면
                                         남녀 간에 지독한 욕이다
                                         울퉁불퉁에다 두루뭉술하니까

                                         그토록 못생긴 열매
                                         먹지도 못하는 과일
                                         하지만 그 몸에서 나는 향기는
                                         그것들을 다 접고도 남아

                                         꿀에 졸여서 따끈한 차로
                                         술에 담가서 향긋한 반주로 
                                         문갑이나 책상 머리에 괴어서
                                         다 시들도록 맡이는 향접시

                                         더 눈여겨 볼 것은
                                         배꽃을 닮은 연분홍 꽃잎
                                         껍질이 벗겨지면서 드러나는
                                         연두색의 매끈한 수피(樹皮)

                                         선인들은 멋진 정자를 짓고는
                                         그 옆에 이 나무를 심었고
                                         놀부가 탐을 낸 흥부네 집 
                                         그 화초장도 모과나무 제품이다

                                         요즘 공원 조경이나 가로수로
                                         이 나무가 심겨져 주렁주렁
                                         모과가 달린 것은 보기가 좋다.

▲ 모과나무, 꽃. [사진 - 정관호]

▲ 모과나무, 수피.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모과나무는 중국 원산이지만 지금은 텃나무가 되었다. 나무껍질은 푸르스름한 밤색인데 자라면서 비늘처럼 벗겨져 얼룩덜룩한 무늬를 이룬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분홍색으로 피고, 타원형으로 익는 열매는 달콤한 향내가 난다. 날로 먹기에는 너무 뻐세지만, 차로 우리거나 술 담그는 데 귀하게 쓰인다. 요즘은 녹지 공간에 관상수로 심기도 하며,한방에서는 그 열매를 가래삭힘 등 약재로도 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