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등골나물. [사진 - 정관호]

                                            등골나물

                                               가을이 왔음을 알리는
                                               여러 풀 가운데 하나 

                                               대궁은 곧게 솟아
                                               성긴 꽃차례를 이루고
                                               암술이 밖으로 뻗어서
                                               털북숭이 모양을 한다

                                               무리를 잘 짓지 않아
                                               거의가 외대로 서 있고
                                               희거나 연분홍으로 피는
                                               꽃도 화사하지는 않아

                                               눈여겨보지 않고 지나쳐
                                               그것이 기였구나 하고
                                               다시 찾아갔을 때는 이미
                                               시들어서 초라한 꼴이다

                                              가을이 덧없이 흐르듯
                                              잠시 꽃술을 날리는 들풀.

▲ 등골나물(분홍). [사진 - 정관호]

▲ 등골나물, 씨. [사진 - 정관호]

▲ 벌등골나물. [사진 - 정관호]

▲ 서양등골나물.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등골나물은 산발치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났으며 끝에서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끝이 뾰족하다. 가을로 접어들면서 흰색 또는 분홍색 꽃이 젖혀진 우산 모양으로 피는데 암술대가 길게 밖으로 나온다. 털이 달린 씨는 바람에 잘 날린다. 어린 순은 먹고 전초는 말려 약에 쓴다. 골등골나물ㆍ벌등골나물 등 형제종이 있고, 서양등골나물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인데 번식력이 아주 강하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