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까치수염. [사진 - 정관호]

                                                    까치수염

                                          까치 수염이 어떻게 생겼는지
                                          판판 모르고 지냈더니

                                          저 꽃이 피는 것을 보고서야 
                                          알고 싶어질 만큼 

                                          그렇게 한번 외면
                                          다시는 잊어버릴 것 같지 않은
                                          그런 이름의 풀

                                          기실 수염이기보다는
                                          꼬리 쪽이 더 가까운 견줌일 터인데
                                          어째서 수염에 비겼을까

                                          꽃이 피기 시작할 즈음에는 
                                          밑으로 꼬부라지다가도
                                          차츰 피어올라가면서 꼿꼿해지는 습성

                                          숲길을 걷다가
                                          그 하얀 꽃이삭을 보면
                                          허리를 낮추어 살짝 건드리게 되는

                                          우리 주변 산야에서 자주 만나는 이웃
                                          수염이든 꼬리든 그저 반갑다.

▲ 큰까치수염. [사진 - 정관호]

▲ 붉게 물든 큰까지수염. [사진 - 정관호]

▲ 갯까치수염. [사진 - 정관호]

도움말

까치수염은 산과 들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인데 일명 ‘까치수영’이라고도 한다. 까치 염에 견준 그 이름짓기의 근원은 모르겠지만, 꽤 크게 자라 1미터쯤까지 큰다. 꼬부라진 햐얀 꽃술이 피어올라가면서 곧게 일어선다. 큰까치수영이 가까운 형제종인데, 초본으로는 드물게 가을에 붉게 물드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갯까치수영은 이름 그대로 바닷가에서 자란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