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탱자나무, 꽃. [사진 - 정관호]
탱자나무
억센 가시를 달고 빽빽히 자라 과수원이나 집 울타리 지키미로 남도 집집이 심어 가꾸는 나무
액운과 역병을 물리친다는 주술목 비록 키는 작으나 방어력도 세어서 몽고병란 때 강화도 성에서는 적군을 막을 방책으로도 심었다니*
흰 꽃과 노란 열매의 짙은 향이 가시의 두려움을 접고도 남아 화장품이나 향료로 쓰이고 여러 약효로 귀한 대접도 받아
귤나무를 접붙일 때 밑나무로 크게 자란 나무는 천연기념물로 선비 집 뜰에 멋스러운 정원수로 그 쓰임 밑두리가 두루 넓어
유민이 되어 제 고장을 등졌거나 집을 떠나 객지살이를 하는 이들 이 나무를 끼고 자란 기억들이 아련한 향수를 자아내기도 한다
비록 그 열매를 먹지는 못하지만 달콤한 유자나 감귤 등속은 이 나무와 가까운 사촌 형제들이다.
* 강화도에는 그때 심어서 크게 자란 탱자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 탱자나무, 열매. [사진 - 정관호]
▲ 고택의 탱자나무. [사진 - 정관호]
▲ 강화도 사기리 탱자나무(천연기념물제30호). [사진 - 정관호]
도움말
탱자나무는 3미터쯤 높이로 자라는 가시나무인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빽빽한 수형을 이룬다. 그래서 생울타리나 과수원 둘레 경계목으로 많이들 심는다. 유독 강화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탱자나무가 여러 그루 있는데, 그 까닭은 병자호란 때 성벽 둘레에 심어 적병의 침입에 대비했던 때문이라고 한다. 꽃과 열매는 향기가 좋고, 익기 전의 열매를 말린 것을 지실(枳實)이라 하여 약으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