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둥굴레. [사진 - 정관호]
둥굴레
산지 그늘받이 나무 밑 그 싱그러운 초록 색깔 서로 어깨를 나란히 사는 예쁜이
옆으로 펼친 길둥근 이파리는 더 키돋음 하려는 날갯짓인가 상체는 약간 앞으로 갸우뚱
빨간 마디마다 드리운 흰 꽃부리는 끝만 살짝 연두색 뽀얀 분칠 살갑게 줄지어 핀다
몸매 잔망한 각시둥굴레 껑충 뼈대 굵은 왕둥굴레 형제자매 두루 거느린 숲의 숙녀
요즘은 둥굴레차가 맛나는데 어려서 가둑잎*에 받아먹던 둥굴레찜 그 맛이 지금토록 입안에 달다
아련한 색깔 점잖은 몸가짐 어느 곳 어느 산골짝에서나 만나서 반가운 향수의 풀.
* 가둑잎:떡갈나무 잎을 함경도 사투리로 이르는 말
▲ 둥굴레, 열매. [사진 - 정관호]
▲ 각시둥굴레. [사진 - 정관호]
▲ 무늬둥굴레. [사진 - 정관호]
▲ 왕둥굴레. [사진 - 정관호]
▲ 용둥굴레. [사진 - 정관호]
▲ 진황정. [사진 - 정관호]
▲ 층층갈고리둥굴레.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둥굴레는 산기슭 빛고른 데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데, 흰 뿌리줄기(根莖)가 옆으로 뻗으면서 자란다. 위쪽이 비스듬히 휘는 줄기는 약간 모가 지며, 잎자루 없이 어긋나는 타원형 이파리는 뒷면이 희끄무레하다. 종처럼 생긴 흰 꽃이 잎겨드랑이에 한두 낱 달리는데, 연두색을 띤 끄트머리가 여섯 가닥으로 살짝 갈라진다. 열매는 줄줄이 검게 익으며 단맛이 난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귀한 약재가 된다. 각시둥굴레ㆍ무늬둥굴레ㆍ용둥굴레ㆍ왕둥굴레ㆍ진황정ㆍ층층갈고리둥굴레 등 일가붙이가 쟁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