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산딸기, 꽃. [사진 - 정관호]
산딸기
산불이 난 뒷자리 사태로 깎인 비탈 거기에 맨먼저 쳐들어가는 나무
그랬다가 수목이 어울리면 슬며시 꼬리를 감추는 게릴라 가시나무
그 가시가 가지마다 빽빽해서 숲속을 헤집고 다니노라면 기어이 갚음을 받고야 말아
더러 제 몸을 덩굴풀에도 내줘 그것들이 두루 얽히면 쇠신발을 신고도 못 들어가
그런 섟에 붉게 익은 열매는 시큼달콤 맛이 있어 팔다리를 찔리면서도 따먹어
그런 열매는 서로 비슷하면서 생김새가 조금씩 다른 붙이에 줄딸기 복분자딸기 들이 있다.
▲ 산딸기, 열매. [사진 - 정관호]
▲ 곰딸기(붉은가시딸기). [사진 - 정관호]
▲ 멍석딸기. [사진 - 정관호]
▲ 복분자딸기. [사진 - 정관호]
▲ 줄딸기. [사진 - 정관호]
▲ 장딸기.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산딸기는 초본성 갈잎나무로 전국 산야에서 자란다. 절개지나 척박한 땅에 뿌리내리기를 좋아하는데 줄기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이파리는 손바닥 모양인데 생김새에 변화가 많다. 햐얀 꽃은 다섯 가닥이고, 붉게 익는 열매는 새콤달짝지근해서 맛이 있다. 중부지방에서는 곰딸기(붉은가시딸기)ㆍ멍석딸기ㆍ복분자딸기ㆍ줄딸기 등이 자라고 남쪽 따뜻한 고장에서는 장딸기ㆍ수리딸기 등이 자라는데, 생김새가 조금씩 다를 뿐 그 모두가 가까운 형제종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