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국제기구를 통해 지난해부터 네 차례에 걸쳐 북한에 27억 8천만원 상당의 B형 간염 백신을 지원해왔지만 이같은 사실을 공개하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예상된다.

통일부 관계자는 15일 오전 “정부는 11월 1일 독일 카리타스와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을 통해 B형 간염 예방백신과 주사기 등의 대북지원을 승인했다”며 “이번에 지원되는 백신 등은 11월 7일과 11월 14일 두 회에 걸쳐서 인천에서 해로를 통해 (중국) 단동으로 옮기진 후 다시 육로를 통해 신의주로 전달됐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동 사업은 5.24조치의 틀 내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순수 인도적 지원사업을 유지한다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보건복지부 예산 10억 6천만원이 사용됐다”면서 지난해 10월 27일과 연평도 포격전 하루 전인 11월 22일에도 같은 지원이 이루어져 총 4회에 걸쳐 27억 8천만원의 보건복지부 예산이 사용됐다고 전했다.

따라서 지난해 5.24조치 이후 정부 차원의 인도적 대북지원은 보건복지부 예산 27억 8천만원과 지난해 대북 수해지원 통일부 예산 72억원을 합쳐 총 99억 8천만원이다. 또한 통일부는 세계보건기구(WHO)에 제공한 대북 인도적 지원금 1천 312만 달러 중 미집행분 694만 달러의 집행을 지난 8일 승인한 바 있다.

이 당국자는 “5.24조치 이후 지방자치단체의 재원이 투입된 대북지원은 주로 말라리아 방역, 탁아소.육아원 지원, 장애인 지원 등 총 25억 8천만원 상당”이라고 밝혔다.

지난해부터 정부 예산으로 북한에 B형 간염 백신이 지원됐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알리지 않고 있다가 <연합뉴스> 보도가 나오자 이를 발표한데 대해 이 당국자는 “감추지는 않았다”면서도 “우리가 미처 파악하지 못해 그렇게 된 것에 대해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