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며느리밑씻개. [사진 - 정관호]

                                                 며느리밑씻개

                                         한 번 들으면 잊혀지지 않는 
                                         괴상한 이름의 들풀 며느리밑씻개

                                         손에 닿기만 해도 따가운데
                                         저 줄기로 어찌 밑을 닦으라고
                                         그것도 시아버지가 며느리를 위해
                                         측간 변두리에 심어 놓았다던가

                                         입자루가 조금 안으로 달렸을 뿐 
                                         똑같이 생긴 것에는 또 며느리배꼽
                                         어쩌자고 은밀한 언저리를 맴돌며
                                         가시 돋힌 풀들만 들먹였을까

                                         작명가 할아버님은 내숭스러워
                                         가시 방석을 며느리 거기에 견주시다니.

▲ 며느리밑씻개, 꽃 생김새. [사진 - 정관호]

▲ 며느리배꼽. [사진 - 정관호]

▲ 며느리배꼽, 열매.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며느리밑씻개는 길가 빈터나 추진 데를 좋아하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줄기고 잎자루고 할것없이 날카로운 가시가 촘촘 나 있고, 그것으로 물체에 잘 달라붙는다. 7~8월 경 가지 끝에 연분홍색 꽃이 모여 피고 가을에 검게 익는다. 며느리배꼽과 닮았는데 ‘밑씻개’는 잎자루가 잎 밑둥에 붙고 ‘배꼽’은 좀 안으로 들어와 잎 뒤에 붙으므로 쉬 분간이 된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