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여뀌. [사진 - 정관호]

                                                    여 뀌

                                          매양 ‘잡초’로만 다뤄져서
                                          억울함에 지쳐버린 풀

                                          동기간에도 서로 비슷해서
                                          간이 안 가니 그럴 만도

                                          개울 옆이나 축축한 데서
                                          다른 풀들과 함께 어울리며

                                          꽃이파리는 없이 꽃받침이
                                          꽃 구실을 하는 것이 많아 

                                          얽혀서 길다란 꽃줄기에
                                          성긴 꽃을 다는 이삭여뀌

                                          줄기에 잔털이 보송보송
                                          그래서 이름이 털여뀌
         
                                          잎 한가운데에 뚜렷이
                                          반점이 선명한 바보여뀌

                                          가시가 많이 돋혀 가시여뀌
                                          까닭없이 낮게 불려 개여뀌

                                          찾고 배우고 바로잡을 뿐
                                          잡초라고 부르지는 말자.

▲ 바보여뀌. [사진 - 정관호]

▲ 이삭여뀌. [사진 - 정관호]

▲ 털여뀌. [사진 - 정관호]

▲ 붉은털여뀌(노인장대). [사진 - 정관호]

▲ 가시여뀌. [사진 - 정관호]

▲ 개여뀌.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여뀌는 냇가나 축축한 땅이면 어디서나 잘 자라는 한해살이풀인데, 그 풀을 보지 못하고 자란 사람도 없을 테지만, 그것이 여뀌인 줄 알고 보는 사람도 흔치는 않다. 많은 가지를 치면서 자라며, 이파리에 반점은 없고 씹으면 매운 맛이 난다. 여름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이삭모양의 연한 붉은색 꽃을 피운다. 어린 순은 먹고 줄기를 짓찧어 물에 풀어서 물고기를 잡기도 한다. 이름을 나눠가진 숱한 형제종들이 있는데 바보여뀌ㆍ이삭여뀌ㆍ털여뀌ㆍ붉은털여뀌(노인장대)ㆍ가시여뀌ㆍ개여뀌 등은 눈에 많이 뜨이며 분간하기가 비교적 쉽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