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계요등. [사진 - 정관호]
계요등
꽃들이 그네를 뛴다 늘어뜨린 외줄에 칭칭 매달려 쌍그네를 뛴다
바닷바람을 좋아해선지 해변에서 다른 나무를 휘감고 덩굴로 뻗으며 자란다
늦여름 장마가 끝나갈 무렵쯤 덤불에 얽히는 통꽃 무리 그 자주색 화심이 눈길을 끈다
줄기는 여린 듯해도 옆으로 기고 아래로 처지면서 순리껏 다른 나무와 어울린다
짙은 노랑으로 익는 열매 그 또한 사슬을 엮으면서 곱다시 익어 약재로 쓰인다
그 몸에서 나는 냄새 때문에 닭오줌덩굴(鷄尿藤)이라는 야릇한 이름을 받았나 보다.
▲ 계요등, 꽃 생김새. [사진 - 정관호]
▲ 계요등, 열매. [사진 - 정관호]
도움말
계요등은 덩굴성 갈잎나무(落葉樹)로 바닷바람을 좋아하는데 악취를 풍긴다. 줄기는 왼쪽으로 물체를 감고 올라가며, 이파리는 가늘고 끝이 뾰족하다. 꽃은 한여름에 잎겨드랑이에 원뿔꽃차례(圓錐花序)로 피는데, 깔때기 모양의 흰 꽃이 느슨하게 달린다. 꽃잎은 끝이 다섯으로 갈라지고 화심은 자주색이다. 열매는 가을에 노랗게 익는다. ‘계뇨등’이라고 써야 맞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