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참배암차즈기. [사진 - 정관호]
참배암차즈기
어쩌면 그렇게도 입을 벌린 뱀을 꼭 닮았을까
마디마디 돌려난 꽃차례는 더욱 날카로운 경계의 눈매
징그러워라 윗입술 밑으로 내민 암술머리 둘로 갈라진 그 모양까지 날름거리는 혓바닥 그대로구나
뱀에 물려죽은 두메각시 무덤풀인가
과거 보러 한양 가다가 백 년 묵은 암구렁이에 홀려 비명에 간 선비 넋의 환생인가
노란 꽃색깔은 눈부신데 역광으로 보면 한층 빛나는데 깊은 산에서 만나 더욱 놀라운데
억울하게도 다른 어떤 것과도 견주어지지 않는 우리 풀 참배암차즈기.
▲ 참배암차즈기. [사진 - 정관호]
▲ 단삼. [사진 - 정관호]
▲ 차즈기.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참배암차즈기는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多年草)로 그 모양이 특이한 이 땅 특산종이다. 줄기에는 털이 나 있고 이파리는 둥글게 마주나는데,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져 바투 달린다. 8~9월에 걸쳐 줄기 위쪽 마디마다 입술 모양의 노란색 꽃을 피우는데, 암술대가 윗입술 아래로 길게 뻗어 나와 마치 뱀 혓바닥처럼 보인다고 해서 이런 이름을 가진 듯하다. 약초로 이름난 단삼은 꽃 색깔만 다를 뿐 참배암차즈기를 빼닮은 형제종인데, 정작 이름바탕이 된 차즈기는 촌수가 좀 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