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오동나무. [사진 - 정관호]
오동나무
오동나무 열두대 속에 옛이야기를 감추었던 그 나무
넓은 잎 후드기는 비에 시심(詩心)을 달궜던 그 나무
딸아이를 낳으면 여의밑천으로 심었다던 그 나무
인가 근처에는 몇 그루씩 으레 자라고 있었던 그 나무
꽃철이면 몸집이 큰 호박벌이 잉잉대던 그 나무
이름을 나눈 형제들이 있건만 서로 모르는 척 등돌린 나무
이제는 일부러 찾아나서도 좀체 눈에 뜨이지 않는 그 나무
어즈버, 모진 세월이 멀리 가져가버린 오동나무여!
▲ 오동나무, 꽃. [사진 - 정관호]
▲ 오동나무, 열매. [사진 - 정관호]
▲ 참오동나무, 꽃. [사진 - 정관호]
▲ 개오동, 열매. [사진 - 정관호]
▲ 꽃개오동, 꽃.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오동나무는 이 땅에서 자라는 갈잎큰키나무(落葉喬木)인데 인가 주변에 많이 심어왔다. 한눈에 보아 알 수 있는데, 늦은 봄 가지 끝에서 나오는 원뿔(圓錐) 모양의 꽃차례에 종처럼 생긴 연보라색 또는 흰색 꽃이 핀다. 성장이 빠르고 나무 결이 부드러워서 고급 가구나 악기 몸통 재료로 귀하게 쓰인다. 울릉도 원산인 참오동나무는 꽃 안쪽에 자주색 줄무늬가 있고, 이름을 나누어가진 형제종에 개오동ㆍ꽃개오동 따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