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가시연꽃. [사진 - 정관호]
가시연꽃
흔하게 보이는 풀은 아니고 일부러 늪이나 못에 가야 만난다
수면에 너볏이 떠서 귀티나고 된여름 땡볕 아래 의젓도 하여 어렵게 찾아간 길손을 반긴다
잎 윗면에 뾰족히 난 주름살 잎맥을 따라 촘촘히 돋은 잔가시 어째서 자기방어를 저리도 하나
늦여름에 뿌리에서 꽃대가 솟고 그 끝에 자주색 꽃을 다는데 거기에도 빼곡히 가시가 난다
낮에는 힘겹게 꽃잎을 열었다가 밤이면 닫고 소롯이 잠드는데 이 습성은 또 수련을 닮았구나
좀 더 가까이서 늘 보고 싶지만 옮겨다 기르기가 만만치 않아 지극정성으로 돌보아야 하느니
가시로 온 몸을 감싼 데에는 그만한 사연이 있겠지 가시연꽃아.
▲ 가시연꽃. [사진 - 정관호]
▲ 가시연꽃, 꽃 생김새. [사진 - 정관호]
▲ 가시연꽃, 잎 뒷면. [사진 - 정관호]
도움말
가시연꽃은 남쪽 지방의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인데 일명 ‘개연’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여러 개가 모여서 나고, 물 위에 뜬 넓적한 잎은 주름이 많고 광택이 난다. 이파리를 들춰보면 뒨면에 흑자색을 띤 바탕에 그물 모양의 잎맥이 튀어나온 것을 볼 수 있다. 잎 양면에 가시가 많고, 늦여름에 피는 자주색 꽃도 날카로운 가시로 싸여 있다. 생김새가 독특해서 요즘은 중부지방에서도 애써 기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