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돈구 산림청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히고 '북한측의 참석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있다고 본다"고 자신했다. "왜냐하면 우리가 194개국에 의장국 의장 사인하고 유엔사막화방지협약 사무총장 사인해서 보냈다"고 했다. 특히 북한측이 이날부터 16일까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아시아그룹회의에 참석하는 것도 가능성을 높게 보는 이유라고 했다.
그는 "(아시아그룹회의) 자리에서 북한은 UNCCD당사국으로서의 총회 의제를 사전 검토함과 동시에, 북한의 토지 황폐화 심각성에 대해서 국제사회의 공조를 요청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청장은 북한측 임업성과 국토환경보호성에 초청장을 보냈으며 "그 분(김창용 국토환경보호상)이 오기를 바라고, 만약 안 오면 차관급이라도 올 수 있지 않겠느냐"고 기대했다. 또 "유엔주재북한대표부에서 상당히 관심이 많다니까 아마 이번에 꼭 오지 않겠느냐"고 덧붙이기도 했다.
그는 동북아시아에서 사막화 피해가 심한 곳은 주로 중국과 몽골이며, 북한의 경우 산림황폐화가 거의 사막화 수준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다락밭 등의 증가로) 지난 10년간 산림면적이 다시 17만ha가 정보가 감소되고, 황폐화된 산림면적은 서울 면적의 20배인 121만ha가 증가해서, 약 284만ha가 황폐화가 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고 했다.
이어 "산림청은 북한의 토지황폐화 문제와 관련해서 북한 산림복구를 위한 사전준비를 수리한 바 있고, 이번 UNCCD를 비롯해서 국제기구를 통한 간접적인 지원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를 통한 150만불 지원 계획에 진전이 없으나 "북한측이 직접 남쪽에 정부 차원의 요구를 안 할 것"이어서 간접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것이다.
지원 규모와 관련해서는 "1998년도에도 제가 농업복구, 환경보호하는데 라운드테이블 NGO(비정부기구) 자격을 갖고 갔지만, 그때도 (북한이) 4억 3,000만불~4억 5,000만불을 지원해달라고 해서 산림분야가 4,000만불 됐었는데, 앞으로 그런 요구도 있지 않겠느냐고 해서, 우리가 아마 최대한도로 유엔을 통해서라도 초청해보려 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유엔사막화방지협약 제10차 총회는 다음달 10일부터 21일까지 경남 창원에서 열린다. 아시아에서는 처음 열리는 이번 총회에는 토지황폐화가 심한 163개국 고위급 당국자 등 역대 최대규모인 3,000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광길 기자
gklee68@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