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물질경이. [사진 - 정관호]

                                                 물질경이

                                          전에는 무논에서
                                          천덕꾸러기 김 신세
                                          여지없이 호미 세례를 받더니

                                          지금은 웅덩이에서
                                          그 세이파리 꽃이 필 때면
                                          카메라 세례를 받기 바쁘다

                                          가래 보풀 등 옛친구 사이에서
                                          이제는 어엿한 꽃식구 대접

                                          수면 아래 잠긴 이파리는
                                          갈색으로 얼룩일 뿐
                                          영락없는 질경이인데

                                          뭍에 남은 질경이는 발에 밟히고
                                          물에 든 물질경이는 귀하신 몸

                                          선택을 잘해서 상전벽해
                                          오래는 살고 볼 일이다.

▲ 물질경이.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물질경이는 논이나 연못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한두해살이풀인데, 물속에 잠긴 그 이파리가 질경이 잎을 닮았대서 이런 이름을 가졌다. 모진 더위가 고개를 숙일 무렵인 8~9월에 뿌리에서 솟은 꽃줄기(花梗) 끝에 연분홍색 꽃이 한 송이 달린다. 꽃이파리는 수초 무리에 공통되듯 세 낱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