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창포, 어린 잎. [사진 - 정관호]
창 포
단오 날에 그 온 몸을 삶은 물에 머리를 감고 그 뿌리로 만든 비녀를 꽂았다는 여인네 풀
머리 숱이 검게 많아지고 닥칠 액운까지도 물리쳤다는 민속의 풀
또 이 풀의 싹틈으로 농삿일의 시작을 알리기도 했던 월령의 풀
그 이름이 무성하게 자라는 부들이란 뜻 그대로 연못이나 도랑 가에 흔하게 자라고 있었는데
본성이 맑은 물을 좋아하는 때문인지 지금은 어디론가 사라져 매우 희귀한 풀이 되었다
이제는 그 몸에서 나는 향기도 잎 사이로 비죽이 내미는 노란 꽃이삭도 아주 먼 것이 되었구나
앞으로 자라는 아이들에게 수릿날 풍습을 이야기할 때 무엇을 가리켜 창포라 할꼬.
▲ 창포. [사진 - 정관호]
▲ 무늬창포. [사진 - 정관호]
▲ 석창포.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창포는 연못이나 개울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옆으로 뻗는 통통하고 마디진 뿌리줄기(根莖)로 번식한다. 칼 모양의 이파리는 무리를 지어 자라고 밑 부분이 서로 포개진다. 늦은 봄에 잎처럼 보이는 꽃줄기 끝에 황록색 살이삭(肉穗) 꽃이 비스듬히 달린다. 몸 전체에서 향기가 나며, 단오 날 전초를 우려 머리를 감고 뿌리를 다듬어 머리에 꽂는 풍습이 있다. 형제종에 석창포가 있는데, ‘창포’라는 말을 나눠가진 꽃창포는 창포와 촌수가 먼 풀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