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측의 3일 시한 추방 통고에 따라 금강산관광 지구 내에 머물고 있던 14명의 남측 인원과 2명의 중국국적 조선족이 23일 오전 11시 20분 MDL(군사분계선)을 넘어 귀환한다.

통일부 관계자는 23일 오전 배경설명을 통해 “오늘 현재 금강산 지역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 14명, 그리고 중국국적 조선족 2명을 포함해서 16명이 오늘 11시 20분에 MDL을 통과해서 우리지역에 복귀하는 걸로 예정돼 있다”며 “오늘 11시 20분 이후에는 금강산 지역에는 우리 인원이 아무도 없는 상황이 된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거기에 체류하고 있는 국민의 신변안전이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준비가 되는대로, 그리고 북한 측도 오늘 나오는데 대해서 최종적으로 동의했기 때문에 빨리 나오는 걸로 해서 오늘 나온다”며 “현지 상황이 어땠는지는 내려오고 나서 저희도 상황을 좀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동해선출입사무소(CIQ)를 통해 귀환하는 16명은 현대아산으로 돌아오며, 통일부는 현대아산을 통해 종합보고를 받을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당국자는 “(철수시) 우리가 해야 되는 필요한 절차나 조치를 취하고 내려오는 게 당연히 제일 바람직하지만 현지 상황이란 게 또 있고, 신변안전이 제일 우선”이라며 “어제 북쪽 통지문에서 표현들이 있었기 때문에 여의치는 않았을 것 같다는 생각은 든다”고 말했다.

북측 금강산국제관광특구지도국은 22일 오전 통일부와 현대아산 등 업체들에게 보낸 통지문에서 “이 시각부터 관광지구의 모든 남측시설물들을 봉쇄하고 남측 인원들의 접근과 출입을 차단”한다며 “재산을 파손시키는 등 불순한 행위가 있게 되는 경우 우리법에 따라 엄중히 처리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한편 북측이 해외기업과 주요 언론매체들을 초청해 금강산특구 시범여행을 준비 중이라는 보도에 대해 이 당국자는 “<연합뉴스>에서 북한의 대풍그룹으로부터 라선지역하고 연계해서 금강산도 방문하는 방북신청을 저희한테 해왔고 저희는 현재 상황에서 불허를 했다”고 확인했다.

통일부는 “현 남북관계 상황 등을 고려하여 연합뉴스의 북한 방문 승인 신청에 대해 불허”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는 22일 “이 시범여행은 북측 금강산국제관광특구위원회, 라선특별시인민위원회, 조선대풍국제투자집단이 주관하는 것”이라며 “북측은 미국, 영국, 일본, 중국, 홍콩 등의 투자기업인과 관광회사 등의 관계자 수십명과 중국 내 동북3성 대표단, 그리고 미국의 AP, 영국의 로이터, 일본의 아사히신문, 홍콩의 봉황TV, 중국의 환구시보와 CCTV, 동북3성의 흑룡강신문.요녕신문 등을 초청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지금 북한이 공언한 국제관광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 국내외 언론에서 이런 게 보도되기를 바라는 차원에서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지고 그런 행사를 라선과 연계해서 추진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구체적으로 (금강산관광)사업자를 선정했거나 재산처분을 한 것은 아니고 언론이나 내외신을 통해 그런 걸 좀 홍보, 그런저런 용도로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강한 것 같다”고 평했다.

이 당국자는 “실제로 관광사업자 선정이든 재산처분이든 관광사업을 하는 게 확인되고 대응할만한 상황이 되면 당연히 외교적인, 법적인 절차를 포함해서 대응할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현대아산 등 사업자들과도 긴밀히 협의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기사완료, 11:14)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