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개연꽃. [사진 - 정관호]
개연꽃
연꽃과 한 못에서도 자라지만 그 세도에 밀려서 저만치 따로 손톱 만한 노란 꽃으로 피는 수초
연꽃과는 사뭇 다르게 생겼는데 어째서 이름을 아울러 가졌을까
겉보기와는 다르게 바지런해서 아침 일찍 피어서는 종일을 그렇게 해맞이놀이를 한다
그러다가 가루받이가 끝나면 슬며시 드러누워 여물을 들이고
물 속의 이파리와 물 밖의 이파리가 서로 다르며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이는 생김새
그 앙증스러움이 정을 부르고 왜개연꽃은 그 사촌 동생쯤 될까.
▲ 개연꽃, 꽃 생김새. [사진 - 정관호]
▲ 왜개연꽃. [사진 - 정관호]
▲ 남개연. [사진 - 정관호]
도움말
개연꽃은 연못 얕은 데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데, 굵은 뿌리줄기(根莖)가 진흙 속으로 뻗으면서 자란다. 잎자루 끝에 심장 모양으로 달리는 이파리는 물 밖으로 솟으며 두껍고 광택이 난다. 여름에 따로 솟는 꽃자루 끝에 노란 꽃이 맺히는데,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기실 꽃받침이고 진짜 꽃잎은 그 안에 들어 있다. 형제종인 왜개연꽃은 이파리가 물 위에 떠서 자라며, 같은 모양인 남개연은 유독 화심(花心)이 붉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