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관계자는 4일 오후 “오늘 오전 북한은 대한적십자사의 8월 3일 수해지원 제의에 대해 장재언 북한 적십자회 위원장 명의의 통지문을 통해 수해지원 품목으로 식량과 시멘트 등 물자와 장비들을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해왔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에 대해 대한적십자사는 오늘 오후 통지문을 보내 어제 통보한 바와 같이 생필품 및 의약품 등 50억원 상당의 긴급 구호물자를 보내고자 한다는 뜻을 전달했다”며 “담요와 의류, 일용품 등 긴급 생필품과 의약품, 그리고 영양식과 라면 등 식량도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북측은 이날 오전 11시 10분경 판문점 적십자 채널을 통해 의견을 보내왔고, 남측은 오후 3시 20분경 같은 통로로 기존 입장을 재차 통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당국자는 “식량이라든가 시멘트 등 물자와 장비들은 현재 고려하고 있지 않다”며 “남북 적십자사 사이에 협의가 빠른 시일 내에 마무리되어 수해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해 수해지원 당시에도 남측의 지원 의사를 받아들이면서 식량과 시멘트, 중장비 등을 지원해달라고 요청했으며, 우리 정부는 이를 일부 수용해 쌀 5천톤과 시멘트 1만톤, 컵라면 300만개 등 100억원 상당의 구호물품 지원을 결정했다.
그러나 지원물품이 전달되던 중 11.23 연평도 포격전이 발생해 쌀 5천톤과 컵라면 300만개는 모두 전달됐만 시멘트는 3,600톤만 전달된 채 중단돼 실제 지원액은 78억원(수송비 포함) 수준에 그쳤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에도 북측의 ‘중장비’ 지원 요청은 수용하지 않았으며, 올해는 쌀이나 밀가루 같은 식량과 시멘트 등 물자와 ‘장비’ 지원도 수용하지 않을 방침이어서 북측의 이후 대응이 주목된다.
한편 ‘민간단체가 수해지원 물자로 밀가루 반출을 신청하면 승인하겠느냐’는 질문에 이 당국자는 “통상적인 영유아 등 취약계층 대상으로 하는 지원품목 중에 밀가루는 분배투명성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이미 승인해서 (북으로) 가고 있다”며 “통상적인 취약계층 대상 지원으로도 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에 하고 있는 방침에 따라서 검토를 하면 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답했다.
(2보, 16:34)
관련기사
김치관 기자
ckkim@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