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구슬댕댕이 [사진 - 정관호]

                                                     구슬댕댕이

                                            이 나무 꽃이 한창일 때는
                                            어디서 모여드는가 벌 무리가
                                            허벅지 듬뿍 꽃가루를 묻히고 
                                            들며나며 꿀 농사에 바쁘다

                                            오월의 노란 꽃도 볼 만하지만
                                            앵두같이 달리는 열매 또한 
                                            그 이름에 걸맞게 매달리느니
                                            영롱한 물렁구슬이 새빨갛다 

                                            공원이나 녹지에 가꿔 길러서
                                            벌나비 잔치를 차려줘도 좋고
                                            마당 귀퉁이에 한 그루쯤 심어 
                                            완상하는 일 또한 멋스러우리

                                            게다가 이 땅 특산종이라니
                                            기 더욱 자랑스러워라
                                            공해에도 썩 잘 견딘다니
                                            이름 잘 지어받아서 구슬댕댕이.

▲ 구슬댕댕이, 꽃 [사진 - 정관호]

▲ 슬댕댕이, 열매 [사진 - 정관호]

도움말

구슬댕댕이는 중부 이북의 깊은 산에서 자라는 갈잎좀나무로 양지를 좋아하는 이 땅 특산종이다. 나무 껍질은 세로 벗겨지며 잎은 마주난다. 어린 가지와 이파리에는 잔털이 많이 난다. 봄에 잎겨드랑이에서 입술 모양의 노란 꽃이 피며 자츰 색깔이 짙어진다. 붉게 익는 열매는 두 개가 하나로 합쳐진 꼴인데 구슬처럼 곱고 새들이 즐겨 먹는다.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라며 공해에도 강하다고 한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