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벌깨덩굴. [사진 - 정관호]

                                                      벌깨덩굴

                                           한번 보면 잊히지 않는 얼굴
                                           그런데 이름이 때로 가물거린다 

                                           줄기 마디마다 뿌리를 내려
                                           자꾸만 옆으로 뻗어가므로
                                           ‘벌’은 번져간다는 뜻일 테고
                                           ‘깨’는 깻잎에서 비롯되었을까

                                            꿀풀과에 드는 풀이 그렇듯
                                            마치 여러 깃발을 내건 듯
                                            꽃대 한쪽에 차곡차곡 차례로
                                            네댓 낱 자주색 꽃이 달린다

                                            그런데 참으로 신묘하게도
                                            밑으로 처진 아랫입술 턱에
                                            진자주색 얼룩무늬 선명하고
                                            거기에 털이 보송보송 났구나

                                            어린 순은 데쳐서 먹고
                                            큰 산에는 흰 꽃, 붉은 꽃의
                                            일가붙이가 자라고 있다지만
                                            내 아직 보지는 못하였구나

                                            이제는 어디서 이 풀을 만나든
                                            얼른 그 이름 떠올려야 되겠다.

▲ 벌깨덩굴, 꽃차례. [사진 - 정관호]

▲ 벌깨덩굴, 꽃 생김새.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벌깨덩굴은 숲속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인데, 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또 뿌리가 내린다. 그래서 ‘덩굴’로 불리는 것 같고, 네모진 줄기에 깻잎 같은 이파리로 30센티쯤 높이로 자란다. 5월 경에 줄기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보라색 꽃이 한쪽으로 줄지어 핀다. 꽃은 입술 모양인데 아랫입술에 짙은 무늬와 긴 수염털이 난다. 찬찬이 볼수록 앙징맞고 익살스럽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