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가락지나물. [사진 - 정관호]
가락지나물
풀가락지 만들어 끼고 소꿉장난 하던 때
너는 사금파리 접시에 꽃밥 만들어 괴고
나는 받아먹는 시늉 냠냠 입소리를 내고
자라기도 한 고샅 크기도 서로 가지런
너는 먼저 피어서 앞가슴을 가리는 나이
나는 역맛살이 끼어 타관살이 샛님이 되고
그렁저렁 보낸 세월 꿈결 같은 어린 시절
이 풀을 만지면서 속절없이 해를 보낸다.
▲ 가락지나물, 꽃이 핀 모양. [사진 - 정관호]
▲ 가락지나물, 꽃이 진 뒤. [사진 - 정관호]
도움말
가락지나물은 산기슭이나 축축한 길가 그늘진 데를 좋아하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옆으로 비스듬히 뻗으며 그 마디에서 또 뿌리가 내린다. 뿌리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다섯 가닥이 나는데, 잎자루가 길어서 그걸로 가락지를 만들어 끼고 놀던 데서 ‘가락지나물’이란 이름이 생긴 듯하다. 5월에서 7월에 걸쳐 가지 끝에 노란 꽃이 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