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쥐똥나무. [사진 - 정관호]
쥐똥나무
참새 까치 비둘기 무리들이 인가 주변에 머물러 살듯이 도시 한가운데로 터전을 옮긴 나무
길가나 공공건물 경계선에 혹은 아파트나 양로원 진입로에 나지막하게 가꾸어진 생울타리로
여느 때는 잘 모르다가도 봄날 진동하는 향기에 눈여겨 살피면 거기 꽃을 피우고 있는 잔떨기들
비록 그 모습은 대단치 않지만 연신 뿜기는 매연을 이기면서 하나의 의미로 줄긋고 섰는 질서.
▲ 쥐똥나무, 꽃. [사진 - 정관호]
▲ 쥐똥나무, 열매. [사진 - 정관호]
▲ 청쥐똥나무.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쥐똥나무는 산기슭이나 골짜기에서 자라는 갈잎좀나무(落葉灌木). 생장하는 자리를 별로 가리지 않고 공해에도 강하다. 낮은 키에다 가지치기(剪枝)가 잘 먹히므로 요즘은 도시 공간에 생울타리로 많이 심는다. 새까맣게 익는 열매가 쥐똥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오뉴월에 총상꽃차례의 이삭꽃을 피우는데, 그 향기가 멀리까지 퍼져 벌나비를 불러모운다. 비슷한 형제종이 많은데, 주로 남쪽지방 해안 일대와 제주도에서 자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