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우산나물, 새순. [사진 - 정관호]

                                                         우산나물

                                                   봄나물 돋았다
                                                   우산나물 돋았다 

                                                   누굴 씌울려고 돋았는지
                                                   뜯어 삶기는 아까워

                                                   두꺼비 씌울려나
                                                   갓난 토끼 씌울려나

                                                   우산 살은 많은데
                                                   종이가 안 발렸어 

                                                   메뚜기는 안 되겠고 
                                                   겨우 개구리나 긋겠다 

                                                   비 그치면 빨리
                                                   꽃대를 솟구어야지 

                                                   어서 미끈히 자라서
                                                   하얀 꽃 차례로 피워라.

▲ 우산나물, 자란 잎. [사진 - 정관호]

▲ 우산나물, 꽃철. [사진 - 정관호]

▲ 애기우산나물, 새순. [사진 - 정관호]

▲ 애기우산나물, 자란 잎. [사진 - 정관호]

▲ 삿갓나물.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우산나물은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데, 봄에 솟을 때 우산 모양을 하므로 그 이름이 붙여졌다. 키는 껀정 높이 자라며 이파리는7~9개로 깊이 파이며 그 끝이 다시 두 가닥으로 갈라진다. 여름에 꽃대가 솟아 그 끝에 대롱꽃이 이삭 모양으로 달린다. 새순은 나물로 먹는다. 애기우산나물은 키도 작고 이파리도 가늘다. 비슷한 이름에 ‘삿갓나물’이 있지만 생태적으로 가까운 종은 아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