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털제비꽃, 무리지어 피어남. [사진 - 정관호]

                                                    털제비꽃

                                         거기 있으려니 짐작도 못한 곳
                                         거기 피었으려니 기대도 않던 때
                                         숲을 헤가르다가 불쑥 너를 만났구나

                                         아무렇게나 값없이 버려진 그늘
                                         지나는이 없는 후미진 산 비탈에서
                                         꽃을 피운 너를 만난 기쁨이 컸다 

                                         오 세상에, 이런 데서 피다니 
                                         이리저리 살피며 한참을 곁하고 앉아 
                                         너를 반기느라 해 기우는 줄 몰랐다 

                                         은근스레 남 못잖은 자태를 지녔고 
                                         여기저기 흩어져 집안을 이루면서 
                                         겸손도 병인 양 너무 하였구나 

                                         늦게사 만난 제비꽃 중 막내아우 
                                         맘에 쏙 드는 그 갖춤새 보송보송 
                                         우리의 들꽃, 이 땅의 털제비꽃이여!

▲ 털제비꽃. [사진 - 정관호]

▲ 털제비꽃, 꽃 생김새. [사진 - 정관호]

▲ 아욱제비꽃. [사진 - 정관호]

▲ 왜제비꽃. [사진 - 정관호]

▲ 콩제비꽃. [사진 - 정관호]

▲ 호제비꽃. [사진 - 정관호]

도움말

털제비꽃은 산기슭 양지바른 데 나는 여러해살이풀. 땅딸막한 키에다 온 몸이 잔털로 덮여 있어 이런 이름으로 불린다. 꽃은 4~6월에 피는데, 따로 솟은 꽃대 끝에 진자주색 꽃을 한 송이씩 단다. 꽃잎 측판 안쪽에도 흰 털이 있고, 잎자루에 좁은 날개가 있는 것도 특색이라 하겠다. 이미 제36고 ‘제비꽃’과 제89고 ‘노랑제비꽃,에 다른 여러 종의 제비꽃들을 아울러 소개했는데, 이번에도 몇 종의 사진을 보태어 싣는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