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골담초. [사진 - 정관호]
골담초
풀로 불리지만 엄연한 나무 덤불로 우거져 잔가지로 빽빽하다
봄에 잎겨드랑이마다 달리는 꽃은 총총 나비 모양 노랗게 피어나 붉게 변한다
봄을 일찍 알리며 꽃이 활짝 피어 늘어질 때는 온 떨기가 꽃보숭이다
만져볼 양으로 손이라도 가져가면 날카로운 가시에 섬뜩 놀라기도
잎 생김새와 더불어 계절을 돋보이게 하는 낮은키나무.
▲ 골담초, 떨기. [사진 - 정관호]
▲ 골담초, 꽃 생김새. [사진 - 정관호]
도움말
골담초는 그 이름과는 사뭇 다르게 엄연한 나무다. 산지에서 자라지만 요즘은 관상용으로 더러 심는다. 줄기에는 노란 반점이 있고 이파리는 넉 장 겹잎인데, 턱잎이 변한 가시가 그 겨드랑이에 나 있다. 5월 경에 입술꽃이 노랗게 달리는데 차츰 붉은색으로 변한다. 골담(骨痰)에 듣는다는 뜻에서 그 이름이 붙여졌다는데, 정작 그 뿌리를 진통약으로 쓴다.
나중에 이름을 알게 되었지만요..
꽃이 활짝 피기전의 모양이 버선을 닮아보여서 혼자 '버선꽃'이라고 불렀답니다.
정다운 꽃을 오랫만에 보니 정말 반갑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