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산벚나무. [사진 - 정관호]
산벚나무
벚꽃놀이가 시들해 갈 무렵 고개를 들어 남산을 바라보면 거기 얼룩덜룩 어루러기마냥 산벚나무가 한창 꽃핀 것을 본다
다른 나무들의 푸르름 속에 유독 분홍 무더기를 이룬 수관이 저렇듯 돋을새김으로 뜰 때 그제사 봄은 무르익어 간다
때늦게 그 나무 그늘을 찾으면 벌써 까맣게 줄익은 벚지들 키돋음으로 따서 입에 넣으니 시고 단 맛에 혀까지 검는다
그 본성이 가을을 빨리 타서 다른 이웃들은 아직 여름잠인데 홀로 서둘러 붉게 물들다가 한 잎 두 잎 그 뿌리로 진다
붉나무가 그와 때맞춰 단풍들고 한참 동안을 두고는 저저이 그 본연의 색을 드러낼 때 산벚나무는 하마 겨울 채비를 한다.
▲ 산벚나무, 가을 단풍든 모양. [사진 - 정관호]
▲ 왕벚나무. [사진 - 정관호]
▲ 올벚나무. [사진 - 정관호]
▲ 처진올벚나무(수양올벚나무). [사진 - 정관호]
▲ 겹개벚나무(만청개벚).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산벚나무는 이름 그대로 산에서 자라는 벚나무다. 우리가 흔히 보는 왕벚나무는 꽃이 먼저 피는데, 산벚나무는 붉은 색을 띠는 이파리와 꽃이 같이 피어난다. 기공(氣孔)인 껍질눈이 발달한 것은 서로 같은데 산벚나무 쪽이 더 굵고 뚜렷하다. 그리고 왕벚나무는 꽃자루에 털이 있는데 산벚나무는 털이 없다. 가을을 일찍 타며 고운 단풍으로 물든다. 가까운 종 올벚나무는 꽃받침통이 통통한 것으로 분간이 가며, 가지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처진올벚나무(수양올벚나무)라고 한다. 꽃이 겹으로 피는 종도 있다.
양심수후원회 총회에서는 제대로 인사도 못해 식사때 찾았더니 먼저 가셨더군요.
뒤늦게 인사드립니다. ^(^
늘 건강하시고 오래도록 좋은 풀과 나무 소개 부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