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금창초. [사진 - 정관호]

                                                     금창초

                                          봄이 한 철인 4월 들머리
                                          남도 백운산 한재 마루로 
                                          고운 님들 제사 모시러 왔다가
                                          논실 개울둑에서 너를 만났구나
                                          해받이 따스한 돌팡구 사이
                                          찬 바람 끝이 싫은가 보아
                                          납작 깔려서 이파리 펼치고
                                          진자주 예쁜 꽃을 피웠구나
                                          오래 여읜 님을 만난 듯
                                          가신 동무 얼굴을 대하는 듯
                                          울렁이는 가슴 그저 반갑구나
                                          먼 노정 가파른 산길을 허위단심
                                          더듬어 온 가쁜 숨 몰아쉬며
                                          네 앞에 무릎 꿇고 이마 조아려
                                          고마움에 그저 마음 바룬다
                                          잔털조차 정갈한 두메풀꽃이여!

▲ 금창초, 월동엽. [사진 - 정관호]

▲ 금창초, 꽃. [사진 - 정관호]

▲ 자란초. [사진 - 정관호]

도움말

‘금란초’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데, 자칫 비슷한 이름의 딴 풀꽃 ‘금난초’와 혼동되기 쉬우므로 ‘금창초’로 표기하는 것이 온당하다. 남쪽 지방의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데, 땅에 납작 깔려서 자라며 겨울에도 푸르름을 유지한다. 그래서인지 온 몸에 잔털이 보송보송하고 이파리도 두껍다. 4월 일찍 자주색 꽃을 피우는데 애잔하면서도 대견한 느낌을 준다. 흰색 또는 분홍색 꽃을 다는 종도 있고, 북쪽 지방에서도 볼 수 있는 자란초는 같은 속(屬)의 형제종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