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아태 대변인 담화는 “우리는 현대측과 맺은 금강산관광에 관한 합의서에서 현대측에 준 독점권에 관한 조항의 효력을 취소하고 북측지역을 통한 금강산관광은 우리가 맡아하되 해외사업자에게 위임할 수 있으며 남측지역을 통한 관광은 현대가 계속 맡아한다는 입장을 현대측에 통고하고 그에 대한 공식문건을 정식 넘겨주었다”고 밝혔다.
담화는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와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은 공화국의 해당기관에 금강산 관광과 관련한 법률적 조치를 취해줄 것을 제기했다”며 “금강산 관광을 새롭게 하는 것과 관련한 국가적 조치는 곧 취해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담화는 이같은 조치의 배경에 대해 “우리는 현대 측과의 신의를 지켜 현대를 비롯한 남측 기업들의 이해관계는 물론 금강산 관광을 희망하는 남녘 동포들의 염원까지 충분히 고려한 합리적인 안을 내놓으면서 합의를 보기 위해 마지막까지 인내성 있게 노력했다”며 “그러나 현대 측과의 협상도 남조선 당국의 방해 책동으로 말미암아 끝내 결실을 볼 수 없게 됐다”고 주장했다.
특히 “남조선 당국이 금강산 관광 재개를 회피하는 것이 그 무슨 관광객들의 신변안전이 걱정되어서가 아니라 금강산 관광이 그 누구의 ‘돈줄’이 된다고 보고 그것을 자르기 위한 반공화국 제재책동의 일환이라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라며 “우리는 남측에 금강산 관광과 관련한 최상의 특혜를 주어 사실상 그사이 적자운영을 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담화는 “우리는 근 3년간 참을대로 참아 왔다. 이제 더는 금강산관광이 재개될 가망도 없다”며 “우리는 부득불 공화국법과 국제법에 준하여 합의당사자로서의 권리를 행사하는 길로 나가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금강산 관광은 2008년 8월 관광객 박왕자씨 피격 사망사건으로 중단됐으며, 북한은 천안함 사건 후인 작년 4월 말 현대아산의 외금강 주요 시설에 대한 압수.동결조치를 집행했다.
|
<추가, 08: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