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신) 북 "북한 주민 31명 전원과 배 무조건 돌려보내라"

북한 주민 송환을 둘러싸고 남북이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4일 오후 6시경 북측은 “북한 주민 31명 전원을 배와 함께 나갔던 해상경로를 통해 무조건 돌려보내야 할 것”이라며 남측이 요구한 27명 인수를 거부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18시경에 북한 연락관이 우리 쪽에 전화를 걸어와 구두통지 형식으로 북쪽 입장을 낭독했다”며 “남측은 북한 주민 31명 전원을 배와 함께 나갔던 해상경로를 통해 무조건 돌려보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한 “오늘 상황은 끝났고 토요일, 일요일은 쉬고 월요일에 다시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측 연락관은 “남측이 우리의 정당한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남북관계에 엄중한 후과를 미치게 될 것이며 그 책임은 전적으로 남측 당국이 지게 될 것”이라며 “남측은 우리 주민 전원 송환 문제가 인도주의 문제인 동시에 남북관계와 관련한 중대문제라는 점을 똑똑이 인식하고 이제라도 즉시 주민과 배를 해상경로를 통해 돌려보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관계자는 “판문점 부근에서 대기하고 있던 27명은 다시 원래 있던 숙소로 이동 중에 있다”며 “토요일, 일요일은 휴일이어서 연락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우리 입장에서는 27명은 돌아가기 희망하는 분들이므로 조속 송환한다는 입장이어서 월요일이 되면 이 문제를 다시 북측과 협의할 생각”이라며 “방식은 어떤 식으로 될지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고 전했다.

북측이 31명 전원 송환을 요구하고 27명의 인수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에서 월요일에 다시 27명을 판문점으로 데리고 나갈지, 전통문을 다시 보낼지, 연락관 협의를 할지 결정되지 않았다는 것.

북한이 표류주민 4명을 귀순시키고 27명만 돌려보내겠다는 남측 제의를 남북관계와 관련된 중대문제로 간주하고 인수를 거부함에 따라 이후 사태 전개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우리 정부는 귀순 의사를 표명한 4명의 북한 주민에 대해서는 당사자의 자유 의사를 존중해 인도주의적 견지에서 돌려보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2신) 북, 4시 마감통화서 연장 근무 통보해와 대기 중

판문점 인근에서 대기중인 북한 주민 27명을 북측이 인수해가지 않고 있는 가운데, 북측이 판문점 업무시간인 오후 4시를 넘겨 연장근무를 제의해와 귀추가 주목된다.

통일부 관계자는 “오후 4시 마감통화 현재까지 아무 변화가 없다”며 “북측에서 먼저 연장해서 근무하자고 통보해왔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현재까지 북측이 아무런 반응이 없기 때문에 우리 연락관들도 퇴근하지 않고 있다”며 “우리가 어쨌든 인도적 차원에서 돌아가겠다는 사람들을 돌려보내야 하니까 (북측) 답을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송환 대기 중인 북한 주민 27명은 판문점 인근에서 간단하게 점심식사를 하고 대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북측이 오늘중 어떤 입장을 통보해 올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 소식통은 “북측 연락관은 당국의 입장 전달할 뿐”이라며 “아직 북쪽 지침이 안 내려온 것 아닌가 추정된다”고 관측했다.

(1신) 송환 예정 북 주민 27명, 판문점 대기 중.. 북 반응 없어

4일 오전 북으로 송환될 북한 주민 27명이 북측의 31명 전원 송환 요구에 부딪쳐 판문점에서 대기 중이나 오늘 중 송환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 관계자는 “지난달 5일 남하한 북한 주민 31명 중 귀환 의사를 밝힌 주민 27명이 오늘 오전 11시 판문점을 통해 북한으로 귀환활 예정이었으나 북한측의 반응이 없어 넘어가지 못했다”며 “현재로서는 좀 더 기다려봐야겠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이날 오전 9시30분 판문점 연락관 통화에서 남측은 북한 주민 27명을 송환하겠다고 북측에 통보했지만 북측에서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것.

오후 2시 현재까지 상황 변화는 없는 상태며, 통일부 관계자는 “조금 상황을 지켜보고 판단해야 할 것”이라며 “지금으로선 모든 가능성이 다 불투명하다”고만 말했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귀순공작을 했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면서 “정부는 이들의 자유의사를 따라서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박주선 민주당 의원은 “북한이탈주민보호및정착지원법에 따르면 통일부 장관이 보호 결정을 해야 한다”며 “법적 조치를 안 한 것은 법률 위반이자 북한 주민 인권 유린”이라고 지적했다.

송민순 민주당 의원은 “이틀 후 합참 관계자가 '아직까지 귀순의사를 밝힌 사람은 없다'고 한 것이 언론에 나왔다”며 “지금 와서 다시 귀순 이야기가 나와 여러 가지 억측이 나온 것”이라고 지적하고 “배나무 밑에서 갓끈 맨 형국”이라고 비판했다.

전날 대한적십자사는 “지난 2월 5일 서해 연평도 인근 해상으로 월선해온 북한주민 31명 중 북한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27명과 선박을 송환하겠다는 대북통지문을 북적위원장 앞으로 보냈다”며 “합신 결과 북한주민 31명 중 4명이 귀순의사를 밝힘에 따라, 27명만 송환하게 되었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북측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는 전날 밤 대변인 담화를 발표해 “억류된 우리 주민 전원송환문제는 인권과 인도주의문제인 동시에 북남관계와 관련한 중대문제”라며 “부당하게 억류된 우리 주민 31명 전원을 배와 함께 그들이 나간 해상을 통해 무조건 즉시 돌려보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미합동군사연습이 지난달 28일부터 시작돼 어느 때보다 긴장감이 높아진 가운데 북한 주민 귀순문제가 남북간 쟁점으로 떠올라 당분간 남북관계 악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3신, 19:25)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