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적십자사(한적)는 지난 2월 5일 서해 연평도 인근 북방한계선을 넘어 남하한 북한 주민 31명 중 북한으로 돌아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27명과 선박을 송환하겠다는 대북 통지문을 북측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장 앞으로 보냈다고 3일 밝혔다. 나머지 4명은 귀순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적은 "합신(합동신문) 결과 북한 주민 31명 중 4명이 귀순의사를 밝힘에 따라, 27명만 송환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북한 주민은 4일 오전 판문점을 통해 송환될 예정이며, 선박은 같은날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인계할 예정이다. 북한 주민 31명(남성 11명, 여성 20명)은 그간 우리 해군에 예인돼 조사를 받아왔다.

2004년 이후 표류해 온 북측 주민들은 대부분 함께 송환되거나 귀순한 사례가 많지만 일부 송환되고 일부 귀순한 사례도 있다. 지난 2005년 9월 5일 연평도에 표류해온 2명 중 한명이 송환되고 한명이 귀순한 경우와 지난해 9월 20일 동해 울릉도에 표류해온 5명 중 2명이 송환되고 두명이 귀순한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해 월선한 남측 주민은 전원 귀환했다.

한편, 이들에 대해 정부가 '귀순 공작'을 벌이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국회에서 나오기도 했다.

박주선 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25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정부가 귀순 의사도 없고, 대공 용의점도 발견되지 않은 북한 주민들에게 '서울 구경'을 시키는 등 '귀순 공작'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킬 과잉 행동을 벌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일반적으로 표류한 북한 주민 조사는 일주일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일이 지난 지금까지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날 오후 "통일부는 합신 결과를 오늘 통보받아 대북조치를 취한 것"이라며 "인도적 사안이라 당사자의 자유의사에 따라 처리한다는 확립된 원칙이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