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구기자나무. [사진 - 정관호]

                           구기자나무 

                           한때 마시는 병약으로 법석을 떨어
                           어떤 나무인가 궁금했는데
                           길 언덕 풀밭 사이에서
                           그 떨기를 찾았을 때는 적이 놀랐다

                           눈높이보다 조금 낮게
                           흰 털이 난 잔가지가 축 늘어져 
                           보기에는 그저 알량한 덤불
                           손으로 들치니 가시가 찌른다 

                           잎아귀에서 핀 종 모양의 자주꽃
                           그것이 가을에 그토록 영롱한
                           물렁열매로 곱게 붉어서
                           기다렸다가 보는 기쁨이 컸다

                           그 열매가 너무나 유명한 구기자 
                           뿌리 껍질은 또 지골피(地骨皮)라고
                           쓰임이 넓은 한약재여서
                           생김새 치고는 쓰임새 많은 약나무다.

▲ 구기자나무, 꽃. [사진 - 정관호]

▲ 구기자나무, 열매. [사진 - 정관호]

도움말

구기자나무는 산기슭이나 둑길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갈잎좀나무인데, 그 가지가 비스듬히 휘어지면서 마치 덩굴 모양을 이룬다. 꽃은 6월쯤부터 잎겨드랑이에서 자주색으로 피기 시작하여 가을에 물령열매(漿果)로 붉게 익는다. 이것이 구기자(枸杞子)라는 약재다. 이파리와 뿌리도 약에 쓰는 귀한 나무여서 요즘은 재배하기도 한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