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깽깽이풀, 암술이 붉자주색인 것. [사진 - 정관호]

                                                 깽깽이풀

                                      어째서 소리시늉말을 따다가
                                      그 이름을 삼았을까

                                      그 까닭을 알기 위해서도
                                      실물을 기어이 보고 싶었는데

                                      아무런 암시도 못 얻은 채
                                      그냥 매끈한 잎자루에
                                      보드라운 콩팥 모양의 이파리

                                      애당초 줄기는 있지도 않고
                                      잎보다 먼저 피는 자주색 꽃
                                      몸피는 작아도 아담하기만 한데

                                      오히려 물방울도 튀기는
                                      그 깔끔함이 흉이 되어
                                      그런 이름을 받았을까 싶을 뿐

                                      무리를 지어 살기를 좋아하지만
                                      가냘픔 때문에 귀한 몸이 된 풀.

▲ 깽깽이풀, 암술이 연두색인 것. [사진 - 정관호]

▲ 깽깽이풀, 활짝 핀 무리꽃. [사진 - 정관호]

▲ 깽깽이풀, 꽃이 진 뒤의 이파리. [사진 - 정관호]

도움말

깽깽이풀은 깊은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데, 함부로 캐가는 바람에 야생으로는 보기 드문 풀꽃이 되었다. 이른 봄 이파리보다 먼저 연보라색 꽃이 피는데 암술의 색이 연두색인 것과 붉자주색인 것이 있다. 뿌리줄기(根莖)로써 옆으로 뻗으며, 솟는 줄기는 없고 방패 모양의 이파리가 밀생한다. 가녀린 꽃 색깔이 아주 정겹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