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0일 구제역 발생 사실을 공식 확인하고 국제기구에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우리 정부는 지원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은 11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현재까지 북한이 우리 측에 구제역 발생과 관련해서 지원을 요청한 사실은 없다”며 “우리 정부도 현재 북한에 대해서 구제역과 관련해서 지원을 검토하고 있는 것은 없다”고 확인했다.

10일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조선의 여러 지방들에 구제역이 발생하였다”고 확인하고 “내각부총리 김락희를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수의비상방역위원회가 조직되고 전국에 비상방역이 선포되었다”고 밝혔다.

천해성 대변인은 “공식적인 확인 시점을 굳이 말씀드린다면 어제 밤에 북한이 매체를 통해서 발표한 것이 공식적인 확인”이라며 “지금 공식적으로 국제기구에다가 (지원)요청을 했고, 관련해서 여러 가지 상황이 진전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07년 북한 구제역 발생시에는 우리 정부가 국제기구(FAO, OIE)를 통해 북한 지역의 구제역 발생 사실을 확인하고 지원의사를 표명했으며, 이에 북측은 구제역 발생 경위와 피해상황을 알려오면서 구제역 방제에 필요한 약품과 장비 지원을 요청해 26억 4,100만원 상당의 약품과 장비를 남북협력기금에서 지원한 바 있다.

한편 지난 9일 북측의 적십자회담 제안에 원칙적인 ‘동의’를 표한데 대해 천 대변인은 “2월 9일 고위급 군사회담 개최를 위한 군사실무회담이 아무런 합의없이 종료가 되어 있다”며 “현재에는 제안한 것은 유효하지만 추가적으로 적십자 회담과 관련해서 어떤 상황을 진전시킬 만한 그런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