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5)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산겨릅나무. [사진 - 정관호]

                                               산겨릅나무

                                     나무를 보고 말할 때
                                     그 꽃이나 이파리가 으뜸인데
                                     수피의 아름다움에 끌리는 나무가 있다

                                     녹색 바탕에 흰 줄무늬
                                     이 땅에서 자라는 나무 답지 않게
                                     그 연연한 살결

                                     특히 어린 가지의 그것은
                                     황홀하리만큼 고와서
                                     닿는 손끝이 흥분으로 떨린다 

                                     어른 나무가 되어서는
                                     그 푸르름이 조금 짙어질 뿐
                                     노목이 되어서도 그 살갗은
                                     탄탄한 여인의 그것 

                                     관능적인 나무라는 말이 통용된다면
                                     이 나무야말로 그런 나무

                                     저기 저렇게 생신으로
                                     곱게 자라며 깨끗이 늙어가는구나.

▲ 산겨릅나무, 어린 나무 수피. [사진 - 정관호]

▲ 산겨릅나무, 가을. [사진 - 정관호]

▲ 산겨릅나무, 열매.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산겨릅나무는 단풍나무 무리에 드는데 이파리는 거북등 모양을 하고 있다. 나무 껍질은 녹색 바탕에 흰 줄무늬가 있어 특이한 느낌을 준다. 꽃은 가지 끝에 술처럼 드리워져 황록색으로 피며, 열매는 단풍나무처럼 날개가 달려 있는데 벌어지는 각도가 수평에 가깝다. 민간에서는 ‘벌나무(蜂木)’라 불리며 간질환 특효약으로 소문나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