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측이 제의한 남북 고위급 군사회담 실무협의를 위한 예비회담을 26,27일경 제안할 예정이며, 비핵화 관련 당국 회담 개최도 빠른 시일 내에 제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24일 오전 국방부 관계자는 “북한에 고위급 군사회담을 위한 예비회담 개최 제안을 이달 26일 혹은 27일 정도에 할 계획”이라며 “내달 중순 판문점에서 대령급 실무회담을 하자고 제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예비회담의 대표는 대령급 실무자로 남측은 문상균 국방부 북한정책과장(육군 대령)이, 북측은 국방위 정책국의 리선권 대좌가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24일 오전 통일부 이종주 부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고위급 군사회담을 위한 예비회담을 추진하고, 이와 별도로 비핵화에 대한 진정성 확인을 위한 고위급 당국회담을 제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힌바 있다”고 재확인하고 “정부 내의 유관 부서 간 구체적인 사항들에 대한 협의가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또한 “협의가 마무리 되는 대로 빠른 시일내에 북측에 남북고위급 군사회담 예비회담과 비핵화 관련 당국 회담 개최를 제의할 예정”이라며 “두 가지 회담 모두 제의를 할 것이다. 다만, 두 가지 회담의 제의시기가 동시에 이루어질 것인지 시차가 필요할 것인지 하는 부분은 좀더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북한 김일철 인민무력부장은 지난 20일 김관진 국방장관에게 보낸 전통문을 통해 남북 고위급 군사회담을 제의하면서 회담 의제를 “천안호사건과 연평도 포격전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조선반도의 군사적 긴장상태를 해소할 데 대하여”로 “회담시기를 2월 상순의 합의되는 날짜로, 회담장소는 쌍방이 합의하는 편리한 곳으로, 북남 고위급 군사회담 개최와 관련한 실무적 문제를 토의하기 위한 쌍방예비회담 날짜는 1월말 경으로 정하자”고 제의해 왔다.

그러나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은 지난 20일 북측 회담제의 수용의사를 밝히면서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한 책임있는 조치 및 추가 도발 방지에 대한 확약을 의제로 하는 남북 고위급 군사회담에 나갈 것이며, 이러한 방향으로 예비회담 등 구체적 사항들을 추후 북측에 제의할 계획”이라고 말했고 통일부 관계자는 “예비회담이 열리게 되면 고위급 군사회담의 구체적 급, 의제, 북한의 입장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예비회담부터 샅바싸움이 만만치 않을 것임을 예고한 바 있다.

(2보, 15:52)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