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5)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흰말채나무. [사진 - 정관호]

                                                    흰말채나무

                                           검게 익는 여느 말채와는 달리
                                           열매가 희게 여문다고
                                           그 이름을 가진 북방계 나무

                                           그토록 나긋하던 떨기가
                                           가을 들면서 잎과 가지가
                                           아울러 붉게 물들어
                                           총총한 울타리를 엮는다 

                                           낙엽진 설원에서 
                                           시린 바람을 경계함인가
                                           아니면 제 몸을 달구어서
                                           얼어붙는 사지를 녹이려 함인가

                                           잿빛으로 잠드는 숲에서
                                           선연한 색깔로 부채질 하며
                                           홀로 뜨거운 돌개바람을 일으킨다

                                           가녀린 듯 깡다구로 버티며 
                                           안으로 야무지게 응집하는 
                                           그래서 남쪽에서도 잘 사는 습성

                                           조용히 그러나 들리는 말로
                                           또렷또렷 엮는 메시지 
                                           우리 함께 따뜻이 살아남읍시다 

                                           그들 사이에서 때로 노란 줄기 
                                           배다른 형제가 섞이어 자라니
                                           씨가 다른 듯 노랑말채나무.

▲ 흰말채나무, 단풍든 모양새. [사진 - 정관호]

▲ 흰말채나무, 붉게 변한 가지. [사진 - 정관호]

▲ 노랑말채나무. [사진 - 정관호]

▲ 말채나무. [사진 - 정관호]

도움말

흰말채나무는 본디 북방계 나무인데, 요즘은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보게 된다. 가지는 밑에서 많이 갈라져서 덤불을 이루며 3미터쯤 높이로 자란다. 수피에는 껍질눈(皮目)이 뚜렷하고 여름에는 푸르다가 가을에는 붉게 변한다. 5~6월에 모인우산모양의 흰 꽃이 피고, 그대로 가을에 흰 씨열매(核果)로 익는다. 가지가 노란 형제종은 따로 노랑말채나무라 하고, 두 나무 다 ‘말채나무’를 바탕으로 하여 분류하고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